SARK 파괴적인 혁신 기술 투자 ETF ARK의 숏 상품
거품이 껴있는 미국 중소형주 헷징 기회를 찾아보자
① 간단 소개 ② 투자 이유
③ 주가 동향 ④ 리스크
'20년을 풍미한 캐시 우드의 혁신 ARK ETF는 '21년 최악의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그런데 혁신에 반하는 ETF는 현재 대부분의 ETF 중 가장 최고의 수익률을 달리고 있는 것을 알고 있나요? 1월 말을 기준으로 ARK ETF의 숏 상품인 SARK는 누적 수익률 60%를 달하고 있습니다.
SARK 혁신에 반하는 ETF에 대해 알아보고 왜? 이 ETF의 수익률이 큰지 그리고 위험성은 없는지 분석해보았습니다.
① 간단 소개 및 출시일
SARK ETF는 미국의 파괴적인 혁신 기술 투자 ETF ARK의 숏 ETF입니다. 즉 ARKK의 1일 수익률의 역을 추종하는 ETF입니다. 쉽게 말해 파괴적 혁신 ETF ARK의 숏 상품이라고 보면 됩니다. '21년 11월 출시되었으며 돈반꿀 ETF라고도 불립니다. 나스닥거래소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출처: Microsecotrs
② 투자 이유
SARK ETF의 투자 이유입니다.
핵심 이유는 ARKK의 숏 상품이기 때문
ARK는 현재 우량한 기업이 아닌 앞으로 성장할 수 있는 미래 가치를 지닌 기업에 투자합니다. 따라서 주가가 회복되는 시기에서는 폭발적인 성장을 낼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ARK 숏 상품을 삽니다.
ARK는 현재 수익률이 높은 기업이 아닌 수익률이 높아질 기업을 매집해 나갑니다. 따라서 상승할 때는 싼 기업을 사모으고 그 기업을 개인들이 따라서 매수하기에 빠르게 덩치를 키울 수 있습니다.
이러한 매커니즘은 반대로 하락장에서 큰 고비를 맞게되는데요. ARK가 매집한 상품에 공매도가 걸리게 되어 빠지면 자신이 가진 다른 종목의 주식을 팔아서 그 상품에 집어넣게 됩니다. 하락이 또다른 하락을 낳게 되는 셈입니다. ARK는 그결과 우량 기술주의 비중을 줄여버리고 흔히들 말하는 잡주 콜렉터가 되어버렸습니다.
두 번째 이유는 현 경기 시황입니다.
현재 경기는 정점을 찍고 하락장에 처해있습니다. 중소형주 및 실적을 내지 못하는 소형 기술주들은 최악의 상태에 처해있는데요. 이런 상황에서는 대형 기술주 FANG+ 마저도 주가 매력이 떨어지는 시점이기에 중소형주에 대한 투자는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현재 FED는 긴축을 논의하고있고 경기가 호황에서 후퇴기로 접어드는 시점에서 소형 기술주의 바닥은 알 수 없습니다.
③주가 동향
SARK는 출시된 지 2개월 정도 된 따끈따끈한 ETF입니다. 이 SARK의 누적 수익률은 2개월 간 60%에 달합니다.

반대로 ARKK의 2개월간 누적 하락은 60%와 유사하다고 보아도 무방합니다.
④리스크
SARK의 리스크 입니다.
SARK는 인버스 상품입니다.
인버스 상품은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플레이하는 상품입니다. 즉 매수자에게 불리한 시장인데요. 이는 주가 변동 후 추종 지수가 같은 가격으로 오면 일반 상품의 경우 같은 값을 가지지만, 인버스 상품의 경우에는 손해를 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ARKK가 100불이었다가 120불이 되었고 다시 100불이 되었다고 가정하면 당연하게 ARKK의 가격은 100불입니다. 하지만 SARK는 ARKK의 수익의 역을 추종하기 때문에 100불에서 120불로 갈 때 20% 하락인 80불로 가격 산정이 되고, ARKK가 120불에서 100불로 떨어지면 17%가 떨어지기 때문에 80불의 17% 수익인 93.6불로 수렴하게 됩니다.
이를 매일 같이 반복하다 보니 대세 하락장이 아닌 이상은 장기 투자할 시 우하향할 리스크가 있습니다.
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하락국면에 맞은 지금 SARK를 통해 소액으로라도 리스크 헷징을 하는 것은 어떨까요?
함께 보면 좋은 글
나스닥 기술주만 가지고 있다면? 섹터별 ETF가 중요한 이유를 알아보자.
[투자개념] 분산 투자 / 분할 매수가 왜 중요할까?
https://trades.tistory.com/6
[1%] 분산투자, 분할매수
분할매수, 분산투자 간단하지만 수익을 높이는 방법 수익에 1%를 더하는 습관 사소한 습관으로 차근차근 부자가 될 수 있습니다. 기술주 하락이 연이어 발생하고 있습니다. 계좌에서 손실보고
trades.tistory.com
이동평균선, BB, RSI, CCI를 통해서 현재 주가가 고점인지 저점인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장기투자로 모아가는 주식이라면 이왕이면 저점에서 매집하면 수량을 더 많이 모아갈 수 있겠지요?
[보조지표 활용] 언제 사는 게 싸게 사는 건지 알고 싶다면?
https://trades.tistory.com/3
[1%] 보조지표 활용 매매
주식은 싸게 사서 비싸게 파는 것이다. 수익에 1%를 더하는 법을 공유합니다. 사소한 습관이지만 이 습관들과 함께한다면 차근차근 부자가 될 수 있습니다. 많이 받는 질문이 "지금 사면돼요?"입
trades.tistory.com
'미국주식 ETF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3X] FNGU FANG+ 빅테크 3배 ETN (4) | 2022.01.22 |
---|---|
[3X] FLYU 미국 리오프닝 3배 ETN (항공, 숙박, 택트, 크루즈) (6) | 2022.01.16 |